최고의 빌런, 시작은 좋은 대본에서! 영화, 연극 그리고 현실에서 다양한 빌런을 만납니다. 빌런은 라틴어 ‘빌라누스(villanus)’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로마 농장 ‘빌라(villa)’에서 일하는 농민을 뜻합니다. 학대와 가난을 피해 농장을 떠난 빌라누스는 약탈과 폭력을 일삼는 강도의 길로 들어섭니다. 그렇게 빌런은 ‘악당’이 되었습니다. 극본에서 빌런의 역할은 "악의 넘치는 행패" 그 이상입니다. 이야기를 진전시키고 주인공을 각성시키고 주제를 강화합니다.
〈바스터즈: 거친 녀석들〉의 한스 란다, 〈매트릭스〉의 스미스 요원, 최고의 빌런들입니다.
할리우드에서 활동하는 영화감독이자 작가 스파이크 리가 빌런 독백 쓰는 법을 알려 줍니다. |
|
|
빌런의 다른 말은 안타고니스트, 안티히어로입니다. 간단히는 악당, “나쁜놈”. 독백은 장면 속 다른 인물에게 하는 말일 수도 있고, 스스로 혹은 관객에게 하는 말일 수도 있습니다. 캐릭터나 플롯에 대해 자세한 정보를 줍니다. 잘 사용한다면 캐릭터의 내면, 배경 이야기를 관객과 공유하는 훌륭한 방법이 될 겁니다. 이야기에 특별한 디테일을 더할 수도 있고요.
독백(monologue, 모놀로그)은 ‘혼자’와 ‘말하다’를 뜻하는 그리스어가 어원입니다. 서로 주고받는 대화(dialogue, 다이얼로그)에 상응하는 말이죠.
독백으로 빌런의 내면을 드러내거나 사악함을 보여 줄 수 있습니다. 훌륭한 배우가 빌런 캐릭터에 생명을 불어넣습니다. 물론 시작은 훌륭한 대본입니다. |
|
|
1. 독백의 목적을 분명히 하세요. 독백은 플롯을 진행시키고 캐릭터의 배경 이야기를 암시하는 등 여러 기능을 합니다. 독백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어떻게 배치해야 전체 구성을 해치지 않는지 이해해야 합니다. 단어 하나하나에 의도가 있어야 합니다.
2. 소리 내 읽으면서 들어 보세요. 초고를 쓰고 나서 소리 내 읽어 보세요. 배우나 동료에게 읽히고 들어 보세요. 당신의 빌런이 이 독백을 내뱉는다 생각하고 얼마나 자연스러운지 평가해 보세요.
3. 빌런에게 진정성을 심어 주세요. 당신의 인물이 허구라고는 해도 그들의 사악함이 현실적이지 않고 상징적인 데 그치면 곤란합니다. 빌런에게 리얼리티를 부여하세요. 빌런에겐 목적이 있습니다. 행동에는 이유가 있고요. 단순한 악의를 넘어 입체적인 성격을 띠어야 합니다. |
|
|
토드 필립스가 연출하고 호아킨 피닉스가 주연한 영화 <조커>(2019)는 빌런 조커의 서사를 다룬다. |
|
|
4. 다양한 방식을 구사하세요. 여러 스타일이 있습니다. 기본 스토리(왜 그런 식으로 행동하는지 설명하는), 악행에 대한 설명(자기가 행할 폭력에 대해 알려 주는), 동정심 유발(캐릭터가 자신의 잘못을 후회하는) 등등.
5. 수정하세요. 초고를 쓰고 들어 봤다면 적절히 수정해야 합니다. 어떤 부분은 불분명하고 어떤 부분은 과할 겁니다. 당신이 의도한 대로 표현될 때까지 수정해야 합니다.
|
|
|
간결하면서도 강력한 독백을 쓰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세 가지 팁을 드리죠.
1. 프로타고니스트의 특성, 대사 패턴에 대응시키세요. 당신의 프로타고니스트가 유쾌하고 빨리 말한다면 빌런에겐 어둡고 절제된 억양을 주세요. 빌런이 주인공의 포일 캐릭터(주인공을 돋보이게 해 주는 캐릭터)일 수 있습니다. 주인공과의 대비감을 독백으로 드러낼 수도 있겠죠.
2. 빌런 독백을 서사의 마지막에 배치하세요.
다 그런 건 아니지만 빌런은 대개 보조 캐릭터입니다. 주인공이 아니죠. 따라서 관객/독자에겐 캐릭터를 알아갈 시간이 필요합니다. 바로 그 시점 이후에만, 그리고 종종 (주인공과 빌런의) 최종 대결 와중에, 당신의 빌런은 마침내 빛나는 순간을 맞이하게 됩니다. 관객은 이때 비로소 빌런에 대해 판단합니다. 빌런에 대한 생각을 바꿀 수도 있고("나쁜놈인 줄 알았더니 아니었네"), 그 판단이 옳았다고("역시나") 결론지을 수도 있습니다.
3. 빌런에게 슬로건을 주세요. 작가들은 제3의 힘을 사용합니다. 반복은 유익한 방법입니다. 하나의 스토리에서 같은 소절을 세 번 반복하면, 관객이 이야기의 처음-중간-끝을 따라 가는 데 도움이 됩니다. 빌런에게 어떤 슬로건이 있다면 극 초반, 상승부, 절정에서 그걸 말하게 하세요. |
|
|
할리우드에는 훌륭한 빌런 독백이 많습니다.
1. 지옥의 묵시록(Apocalypse Now, 1979) 커츠 대령은 독백을 통해 전쟁의 공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서 자신이 아이들을 중독시켰다고 고백합니다. 그는 감정과 동정심을 버린 살인 기계야말로 최고의 군인이라고 생각합니다.
2. 매트릭스(The Matrix, 1999) 스미스 요원은 모피어스를 붙잡아 심문하면서 자신의 계획을 알려 줍니다. 매트릭스를 탈출한 사람들이 모여 들고 있는 지하 도시 시온을 파괴하겠다는 것이었습니다. 이 독백은 스미스가 모피어스와 대조되는 캐릭터임을 부각합니다. 스미스는 시스템 내에서 살기를 선택했고 모피어스는 매트릭스에서 벗어나길 원하죠.
3. 인크레더블(The Incredibles, 2004) 애니메이션에서도 멋진 빌런 독백이 가능합니다. <인크레더블>에서 신드롬이란 캐릭터가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인크레더블의 팬이었고 그의 조수가 되고 싶었지만 거부당했습니다. 분노한 신드롬은 인크레더블을 공격하기 위한 가공할 초능력을 보여 주죠. |
|
|
4. 다크 나이트(The Dark Knight, 2008) <배트맨 비긴스(Batman Begins)>(2005), <다크 나이트 라이즈(The Dark Knight Rises)>(2012) 사이, 크리스토퍼 놀란의 이 영화에 슈퍼 빌런의 독백이 나옵니다. 조커는 브루스 웨인이 사랑하는 레이첼에게 자신의 흉터(찢어진 입)에 대해 얘기합니다. 나중에는 배트맨에게 자신과 배트맨이 얼마나 닮았는지 얘기하죠. |
|
|
5. 바스터즈: 거친 녀석들(Inglourious Basterds, 2009)
나치 장교 한스 란다는 독백에서 유대인을 쥐에, 독일 경찰을 매(살기 위해 쥐새끼를 잡아야만 하는)에 빗댑니다. 2차 세계대전이 배경인 이 영화에서 란다의 독백은 수많은 생명을 앗아 간 이데올로기를 보여 줍니다.
6. 왕좌의 게임(Game of Thrones , 2011∼2019) 세르세이 라니스터, 권력에 굶주린 이 캐릭터는 드라마 8개 시즌 동안 여러 번 독백을 합니다. 시리즈가 끝날 무렵, 그녀는 딸을 독살한 엘라리아 샌드를 고문합니다. 감옥에 있는 엘라리아의 딸들에게 똑같이 갚아 줄 거라고 말하죠. |
|
|
스파이크 리(Spike Lee, 1957∼) 미국 흑인 영화를 대표하는 감독이자 대본 작가, 영화배우. 흑인 정체성을 탐구하는 진지한 자세와 인종 이데올로기를 넘어선 대중성을 겸비했다. 데뷔작 <그녀는 그것을 가져야 해(She’s Gotta Have It)>(1986)가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백인 우월집단 KKK단에 잠복해 비밀 정보를 수집한 흑인 형사 론 스톨워스의 에세이를 바탕으로 한 <블랙클랜스맨(BlacKkKlansman)>(2018)으로 제71회 칸 영황제 심사위원대상을 받았다. |
|
|
다음 레터는?
고대사 전문가인 로이드 르웰린존스 교수가 고대 그리스 비극을 현대적으로 재현할 때 무대와 의상 디자인에서 참고해야 할 사항을 알려 줍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