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분들을 주목하세요👍
연극이나 방송극 따위에서, 각본을 바탕으로 배우의 연기, 무대 장치, 의상, 분장, 조명, 음악 등 여러 요소를 종합해 효과적으로 무대 공연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일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
네, 연출가입니다.
현대 연극사에서 꼭 기억해야 할 연출가 20인을 소개합니다.
*원문을 적절히 재구성했습니다.
|
|
|
연극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연출가 20인의 업적을 소개합니다. 진정한 의미에서 최초의 현대 연극 연출가라 할 수 있는 게오르크 2세부터 모스크바 예술극장의 스타니슬랍스키, 베를리너 앙상블의 브레히트, 브로드웨이의 엘리아 카잔, 실험적인 아방가르드 연출가 아리안 므누슈킨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찬사를 받은 피터 브룩까지!
세계 최고 연출가들은 각기 다른 접근법과 스타일을 보여 줍니다. 스타니슬랍스키, 앙투안, 크레이그는 사실주의와 자연주의에 몰두했고, 브레히트와 피스카토르는 서사극 형식을 개척했습니다. 피터 브룩의 영향력은 국제적이었습니다. 이들 중 일부는 보조금을 받아 연극을 제작했고, 다른 일부는 브로드웨이 상업 연극에서 명성을 쌓았습니다. 몇몇은 실험적인 앙상블 연극으로 유명세를 떨쳤습니다. |
|
|
1. 게오르크 2세(Georg II, 1826-1914)
|
|
|
작센-마이닝겐 공국의 공작입니다. 현대 연극사상 첫 번째 연출가로 여겨집니다. 이 부유한 귀족은 영국 연극에서 영향을 받았습니다. 1886년 마이닝겐 극단을 설립했으며 사실적인 대사, 철저한 고증으로 재현한 사실적인 무대와 의상을 사용했습니다. 연극의 모든 요소를 통합해 실생활을 모방하는 데 연출적 목표를 두었습니다. |
|
|
2. 콘스탄틴 스타니슬랍스키(Konstantin Stanislavski, 1863-1938)
|
|
|
블라디미르 네미로비치-단첸코와 함께 모스크바 예술극장을 설립했습니다. 스타니슬랍스키는 사실주의적 연기 접근법 또는 ‘시스템’을 고안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는 이후 미국식으로 변형되어 오늘날 연극, 텔레비전, 영화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 ‘메소드 연기’로 발전했습니다. 1898년 안톤 체호프의 《갈매기》를 비롯해 여러 중요한 작품들을 모스크바 예술극장 무대에 올렸습니다. |
|
|
3. 앙드레 앙투안(Andre Antoine, 1858-1943)
|
|
|
신흥 자연주의 학파 프랑스 연출가이자 극장 관리자입니다. 1887년 파리에 자유극장(Théâtre Libre)을 설립했습니다. ‘제4의 벽’에 대한 각별한 인식을 바탕으로 관객과 무대 사이에 “투명한 벽이 있다”고 가장한 연출을 선보였습니다. |
|
|
4. 에드워드 고든 크레이그(Edward Gordon Craig, 1872-1966)
|
|
|
무대 조명과 상징적인 무대 디자인에서 혁신적인 콘셉트로 유명했던 고든 크레이그는 뛰어난 연출가이기도 했습니다. 콘스탄틴 스타니슬랍스키와 협력해 현대 연극사상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인 모스크바 예술극장 1911-1912 시즌 《햄릿》을 연출했습니다. |
|
|
↑3D 기술로 복원한 에드워드 고든 크레이그의 연출 장면. |
|
|
5. 막스 라인하르트(Max Reinhardt, 1873-1943)
|
|
|
20세기 초 독일을 대표하는 연출가입니다. 그는 연출가가 연극 제작의 모든 측면을 통제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동시에 예술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협업이 필수라고 보았습니다. 배우와 관객의 관계를 실험했으며, 회전 무대를 디자인한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라인하르트의 강점은 다재다능함이었습니다. 작은 카바레 공간에서의 친밀한 공연부터 성당 같은 건물을 개조한 장소에서의 공연, 대규모 야외 무대 공연까지 다양한 형태의 공연을 연출했습니다. |
|
|
6. 프세볼로트 메이예르홀트(Vsevolod Meyerhold, 1874-1942)
|
|
|
생체 역학(biomechanics)으로 알려진 움직임에 기반한 배우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메이예르홀트는 구성주의 무대 디자인을 도입한 혁신적인 연출가였습니다. 공산당원이었던 그는 자신의 연극을 소련-마르크스주의 철학에 접목하며 표현(“에튀드”)에서 배우 움직임의 효율성을 노동 생산성 및 배우의 문화와 사회에 대한 기여와 연결지었습니다. |
|
|
7. 에르빈 피스카토르(Erwin Piscator, 1893-1966)
|
|
|
독일 출신 동료 베르톨트 브레히트와 함께 “서사극” 개념을 실험했습니다. 이후 브레히트와 동의어가 되었지만 실제로 ‘서사극’이라는 개념은 피스카토르가 만든 것입니다. 이외에도 여러 새로운 기법을 도입했고, 브레히트가 이를 채택했습니다. 피스카토르의 초기작들은 표현주의적 무대 디자인을 활용했습니다. 극장에서 영상과 프로젝션을 성공적으로 사용한 최초의 연출가 중 한 명입니다. 다큐멘터리 연극과 정치 연극의 창시자로도 널리 인정받고 있습니다. |
|
|
8. 베르톨트 브레히트(Bertolt Brecht, 1898-1956)
|
|
|
서사극 주창자이자 극작가, 시인이었던 브레히트는 에르빈 피스카토르와 함께 비사실적이고 교훈적인 연기 및 연출 기법을 개발했습니다. 이는 마르크스주의에 기반을 둔 것이었습니다. 현대 연극사상 가장 노련한 연출가 중 한 명인 브레히트는 1949년에 베를리너 앙상블을 설립했으며, 이 극단은 한때 세계적 명성을 누리기도 했습니다. 브레히트는 베를리너 앙상블 소속 배우들과 함께 서사극을 실험했는데, 헬레네 바이겔이 주연을 맡은 《억척어멈과 그의 자식들》(1949)이 가장 유명합니다. |
|
|
9. 타이론 거스리(Tyrone Guthrie, 1900-1971)
|
|
|
영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극 연출가 중 한 명입니다. 셰익스피어 레퍼토리 극장 예술 감독을 지냈으며(1936-1945), 비평적으로 찬사를 받는 셰익스피어 연극 축제인 캐나다 스트랫퍼드 페스티벌의 설립을 도왔습니다. 레퍼토리 극장의 열렬한 지지자이자 상징적인 인물입니다. 1936년부터 1969년까지 브로드웨이에서 12편 넘게 작품을 연출했지만, 상업 연극을 혐오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
|
10. 엘리아 카잔(Elia Kazan, 1909-2003)
|
|
|
1930년대 초 뉴욕 그룹 시어터에서 배우로 경력을 시작했습니다. 1947년 액터스 스튜디오(The Actor's Studio)를 공동 설립했습니다. 브로드웨이 연극사에 이름을 남긴 유명 연출가입니다. 테네시 윌리엄스의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1947)와 《뜨거운 양철 지붕 위의 고양이》(1955), 아서 밀러의 《모두가 나의 아들》(1947)과 《세일즈맨의 죽음》(1949) 등 미국의 가장 위대한 극작가 2인의 작품 네 편을 연출한 공로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밀러의 작품들로 카잔은 토니상을 두 차례나 수상했습니다. 브로드웨이와 할리우드에서 동시에 성공한 몇 안 되는 연출가 중 하나입니다. 영화 《신사협정》(1947)과 말론 브랜도가 주연한 《워터프론트》(1954)로 아카데미상을 수상했습니다. |
|
|
11. 조안 리틀우드(Joan Littlewood, 1914-2002)
|
|
|
영국의 연극 연출가로 1945년에 극단 시어터 워크숍(Theatre Workshop)을 설립했습니다. 런던 왕립연극아카데미(Royal Academy of Dramatic Art)에서 수학했습니다. 시어터 워크숍에서는 음성, 동작, 즉흥 연기를 중점으로 배우 훈련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습니다. 당시로서는 비전통적이라고 여겨졌던 앙상블 극장을 지지했습니다. 스트랫퍼드에 위치한 시어터 워크숍에서 셰익스피어를 비롯한 르네상스 드라마 작가들의 고전 연극을 창의적으로 재해석한 연출을 선보여 큰 찬사를 받았습니다. |
|
|
12. 피터 브룩(Peter Brook, 1925-2022)
|
|
|
현대 연극의 위대한 연출가 중 한 명인 피터 브룩은 1970년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에서 제작한 《한여름 밤의 꿈》으로 특히 유명합니다. 빈 캔버스 무대와 트라페즈(그네)를 활용한 매우 독창적인 연출이 특징이며 20세기 연극사상 가장 획기적인 작품으로 평가됩니다. 그 외 인도 서사시 《마하바라타》를 아홉 시간짜리 연극으로 각색한 1985년 공연과 페터 바이스의 《마라/사드》(1964) 연출이 유명합니다. 앙토냉 아르토와 예지 그로토프스키의 개념을 도입한 브룩의 작업은 연극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대학생들에게 강연한 내용을 바탕으로 출간한 《빈 공간(The Empty Space)》(1968)에서 ‘죽은 연극’, ‘신성한 연극’, ‘거친 연극’, ‘살아 있는 연극’이라는 네 가지 개념을 도입해 연극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
|
|
↑3분부터 6분 30조까지, 피터 브룩이 연출한 <한여름 밤의 꿈> 장면. |
|
|
13. 할 프린스(Hal Prince, 1928-2019)
|
|
|
브로드웨이 연극의 진정한 거장으로 평가받는 할 프린스는 수십 년에 걸쳐 《파자마 게임》(1955), 《포럼으로 가는 길에 생긴 재미있는 일》(1962), 《지붕 위의 바이올린》(1964), 《카바레》(1966), 《컴퍼니》(1970), 《폴리스》(1970), 《리틀 나이트 뮤직》(1973), 《스위니 토드》(1979), 《에비타》(1979), 《오페라의 유령》(1988) 등 히트작들을 연출했습니다. 또한 브로드웨이를 대표하는 작품 《웨스트사이드 스토리》(1957)를 제작하기도 했습니다. “브로드웨이의 왕자”로 불리며, 총 21개의 토니상을 수상했고 2006년에는 평생 공로상을 받았습니다. |
|
|
14. 피터 홀(Peter Hall, 1930-2017)
|
|
|
영국 연극을 대표했던 피터 홀은 1955년 사무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를 영국을 비롯한 영어권에서 초연해 20세기 위대한 희곡 중 하나로 자리매김시켰습니다. 1960년, 29세 나이에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를 설립했습니다. 홀은 연극 연출가인 동시에 정치적 활동가로서 비영리 예술 부문에 대한 정부 지원을 확보하기 위해 끊임없이 로비를 벌였습니다. 1973년부터 1988년까지 내셔널 시어터의 연출가로 활동하며 20세기 후반 가장 영향력 있는 영국 연극 연출가 중 한 명으로 평가되었습니다. |
|
|
15. 예지 그로토프스키(Jerzy Grotowski, 1933-1999)
|
|
|
폴란드 브로츠와프에 위치한 실험극장(Laboratory Theatre)에서 ‘가난한 연극(Poor Theatre)’을 창시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13열 극장(Theatre of 13 Rows)’에서 《아크로폴리스》(1962), 《콘스탄트 프린스》(1965), 《인물들과 함께한 묵시록》(1968)을 연출했으며, 《파우스트 박사》(1963)와 《햄릿》(1964)도 연출했습니다. 브레히트와 마찬가지로 배우와 관객의 관계에 대한 자신만의 새로운 이론을 연출에 도입하고 실험했습니다. 그의 작업은 매우 실험적이었지만 국제적으로 큰 명성을 얻었으며, 피터 브룩, 스즈키 다다시, 에우제니오 바르바 같은 현대 연출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
|
|
↑예지 그로토프스키가 연출한 <파우스트 박사> 무대. |
|
|
16. 에우제니오 바르바(Eugenio Barba, 1936-)
|
|
|
이탈리아 출신 에우제니오 바르바는 1964년 덴마크 홀스테브로에 실험극단 오딘 극장(Odin Teatret)을 설립했습니다. 지난 60여 년간 80편 넘는 작품을 연출했습니다. 1960년대 폴란드 오폴레에서 예지 그로토프스키를 사사한 바르바는 스승의 영향을 크게 받았습니다. 1979년에는 국제연극인류학학교(International School of Theatre Anthropology)를 설립했으며, 2002년에는 연극 실험 연구 센터(Centre for Theatre Laboratory Studies)를 설립했습니다. |
|
|
17. 아리안 므누슈킨(Ariane Mnouchkine, 1939-)
|
|
|
연극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 연출가입니다. 1964년 파리에서 마르크스주의 성향의 아방가르드 앙상블인 태양 극단(Théâtre du Soleil)을 설립했습니다. 태양 극단은 므누슈킨의 연출 아래 50년 이상 동서양 연극 스타일을 활용한 다양한 작품을 제작했습니다. 예지 그로토프스키의 ‘가난한 연극’과 마찬가지로, 태양 극단의 리허설 과정은 몇 개월에 걸쳐 진행되는 진정한 협력 과정입니다. 그녀의 실험적인 작품들은 국제적인 찬사를 받고 있습니다. |
|
|
18. 트레버 넌(Trevor Nunn, 1940-)
|
|
|
다수의 수상 경력을 자랑하는 영국 연출가 트레버 넌은 28세에 피터 홀의 뒤를 이어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의 예술 감독으로 임명되었습니다. 이후 18년간(1968-1986) 그 자리를 지켰습니다. 1997년부터 2003년까지는 내셔널 시어터를 이끌었습니다. 보조금 지원이 없는 상업 연극에서도 매우 성공한 연출가입니다. 웨스트엔드 초연작인 《캐츠》(1981), 《스타라이트 익스프레스》(1984), 《레미제라블》(1985)을 연출했습니다. 1980년에는 찰스 디킨스의 소설 《니컬러스 니클비의 삶과 모험》을 아홉 시간짜리 공연으로 각색했는데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작품 중 하나입니다. |
|
|
↑트레버 넌이 들려주는 뮤지컬 <캐츠> 이야기. |
|
|
19. 로버트 윌슨(Robert Wilson, 1941-)
|
|
|
로버트 윌슨은 작곡가 필립 글래스와 협업해 다섯 시간짜리 오페라 《해변의 아인슈타인》을 제작한 것으로 유명한 실험 연극의 거장입니다. 디자이너, 배우, 작가로도 활동했습니다. 열두 시간 동안 이어지는 《조셉 스탈린의 삶과 시대》(1976)를 비롯해 《죽음, 파괴와 디트로이트》(1979), 《시빌 워즈》(1983) 등을 연출했습니다. 《시빌 워즈》는 퓰리처상 드라마 부문에서 만장일치로 수상이 결정되었다가 감독 위원회에 의해 취소된 바 있습니다. 윌슨의 형식 실험은 연극의 경계를 넓힙니다. 수 시간에 걸친 공연, 느리고 정밀한 배우의 움직임, 건조한 대사 처리, 빛과 시각 디자인의 놀라운 활용이 특징입니다. |
|
|
20. 로베르 르파주(Robert LePage, 1957-)
|
|
|
1985년 캐나다 퀘벡에 위치한 테아트르 레페르(Théâtre Repère)의 예술 감독이 되었으며, 1989년에는 오타와의 내셔널 아트센터를 이끌었습니다. 주로 자신의 작품을 쓰고 연출하며(때로는 직접 출연도 함), 연극에 새로운 기술을 접목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1994년 연극 회사 엑스 마키나(Ex Machina)를 설립했으며, 오늘날까지 빛, 음악, 멀티미디어의 융합을 실험하는 작품들을 공연합니다. 대표작으로는 《바늘과 아편》(1991), 《오타 강의 일곱 지류》(1994)가 있습니다. 셰익스피어 작품 해석에서도 실험적인 시도를 했습니다. 예를 들어 《한여름 밤의 꿈》은 진흙탕 속에서 진행되도록 연출했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