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장 공간 100% 이해하기 🎭
무대 전면과 객석이 마주 보는 극장입니다. 무대 바깥에서 연출가가 무대 위에 선 배우를 향해 “좀 더 오른쪽에 서 주세요” 하고 말합니다. 객석을 바라보고 서 있던 배우는 오른쪽으로 약간 이동합니다.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연출이 보는 방향에서 배우는 약간 왼쪽으로 이동한 결과가 됩니다.
“무엇”을 “어떻게” 부르기로 하느냐는 공동 작업의 출발이자 중요한 약속일 것입니다. 극장 및 무대 공간의 주요 명칭과 의미를 알아봅니다.
*원문을 적절히 재구성했습니다.
|
|
|
당신은 이제 막 첫 오디션을 앞두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연극 제작에 처음 참여하게 되었거나 그저 극장 안을 둘러보다 궁금증이 생겼을 수도 있습니다. 무대 그리고 극장 구석구석을 무엇이라 부르는지, 그리고 그 용도를 알아 둔다면 배우로서, 무대 스태프로서, 관객으로서 훨씬 더 수월하게 극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무대가 연극의 모든 행동이 벌어지는 장소라는 건 이미 알고 있을 거예요. 하지만 “스테이지 레프트(stage left)”가 어디인지 알고 있나요? “캣워크(catwalk)”가 무엇인지 들어 본 적 있나요? “블랙박스 극장(black box theater)”이라는 말을 들어 본 적은요?
기본적인 무대 방향, 극장의 주요 구성 요소들,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극장 공간에 대해 알아봅니다. |
|
|
배우가 무대에서 어디로 어떻게 움직이는지 이해하기 위해 우선 기본적인 무대 방향부터 알아볼까요? |
|
|
센터 스테이지(Center Stage), 무대 중앙
무대 위 연기 공간의 중앙에 위치합니다.
다운스테이지(Downstage)
무대에서 관객 쪽에 더 가까운 곳입니다. 배우가 “다운스테이지로 이동한다”는 것은 관객 쪽으로 다가간다는 뜻입니다.
업스테이지(Upstage) 무대에서 관객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곳입니다. 배우가 “업스테이지로 이동한다”는 것은 관객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뜻입니다.
스테이지 레프트(Stage Left) / 스테이지 라이트(Stage Right) 무대에서 배우가 관객을 바라볼 때 기준으로 왼쪽과 오른쪽을 말합니다. 배우가 “스테이지 레프트로 이동한다”는 것은 배우가 객석을 바라본 방향에서 왼쪽으로 움직인다는 의미입니다.
*이를 "상수"와 "하수"로 부르기도 합니다. 왜 좌수/우수가 아니라 상수/하수일까요? 개화기 일본을 통해 서구식 무대와 더불어 용어가 수입된 영향입니다. 예부터 상/우, 하/좌가 쌍을 이루어 더 고위인 것, 중한 것을 “상”, “우”로 불러 왔는데요, 바둑에서 더 뛰어난 실력자를 “상수”라 부른다거나 가장 믿는 이를 “오른팔”이라 부른다거나 하는 등에서 여전히 그 영향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왜 “스테이지 레프트”가 “상수”로 번역되었을까요? 배우가 객석을 보는 방향에선 왼쪽이지만 연출가가, 즉 객석에서 무대를 보는 방향에선 오른쪽이기 때문입니다. 서양 연극이 처음 소개될 때 배우, 연출의 지위에 대한 인식이 어떠했는지 짐작할 수 있죠.
|
|
|
극장의 모든 공간에는 이름이 있습니다. 다음은 꼭 알아 두어야 할 몇 가지 중요한 명칭들입니다. |
|
|
세트(Set) 연극의 사건이 벌어지는 물리적 환경을 말합니다. 세트는 해당 연극의 배경이 되는 장소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도록 기술팀이 설계하고 제작합니다. 예를 들어, 연극의 배경이 ‘부엌’이라면, 세트에는 문, 식탁과 의자, 싱크대, 냉장고, 오븐 등이 놓일 수 있습니다. |
|
|
세트의 예시. "검소한 분위기의 거실"을 재현한 듯하다. |
|
|
백스테이지(Backstage) 관객에게는 보이지 않는 무대 뒤쪽 또는 무대 바깥 공간입니다.
에이프런(Apron), 앞 무대 막 바로 앞에 있는 무대 부분입니다. 관객과 가장 가까운 곳입니다.
피트(Pit 또는 오케스트라 피트) 공연 중에 음악가들이 자리하는 공간입니다. 무대 바로 앞, 무대와 객석 사이의 낮은 공간에 위치해 있습니다.
프러시니엄 아치(Proscenium Arch) 무대를 액자처럼 감싸는 아치형 구조를 말합니다. 실제로 커다란 액자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크로스오버 공간(Crossover Space) 무대 뒤쪽, 배우나 스태프가 관객에게 보이지 않고 무대 좌우를 오갈 수 있게 한 통로입니다. |
|
|
크로스오버 공간 예시. 멋지게 꾸며진 무대 전면만을 보는 관객으로선 상상하기 힘든 공간이다. |
|
|
트랩도어(Trap Door) 무대 바닥(또는 벽)에 숨겨진 문으로, 무대 아래나 뒤에서 깜짝 등장하거나 퇴장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윙(Wings) 무대의 양옆, 무대 바깥 공간으로 관객에게는 보이지 않습니다. 배우들이 무대에 오르기 직전에 대기하는 장소입니다. |
|
|
무대 위에서만 일이 벌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무대 바깥에도 중요한 공간들이 많습니다. |
|
|
하우스(House) 객석을 말합니다. 공연을 관람 중인 당신이 앉아 있는 그 자리가 바로 하우스입니다. ‘하우스’는 관객 자체를 가리키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오늘 하우스는 어때?”라는 표현은 “오늘 관객 수는 몇 명이야?” 같은 의미입니다.
- 하우스 레프트 / 하우스 라이트 : 관객이 바라보는 기준에서 좌석 왼쪽 / 오른쪽을 말합니다.
- 백 오브 하우스(Back of House, BOH) : 관객이 접근할 수 없는, 스태프나 배우만 사용하는 공간입니다.예를 들어 “백스테이지”는 BOH 공간입니다.
- 프런트 오브 하우스(Front of House, FOH) : 관객이 이용하는 공간입니다. 로비, 매표소, 매점 같은 곳들이죠.
|
|
|
하우스. 객석을 의미하며 동시에 관객 자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
|
|
오케스트라석(Orchestra) 하우스에서 무대와 가장 가까운 좌석 구역입니다.
발코니(Balcony) 하우스 상단에 위치한 좌석 구역입니다. 아래쪽 하우스 위를 가로질러 위치하기도 하며 대형 극장에는 복수의 발코니를 갖고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장 아래쪽 발코니, 혹은 발코니 첫 줄 구역은 ‘메자닌(Mezzanine)’이라 부릅니다.
|
|
|
부스(Booth) 조명, 음향 등 공연 기술을 조정하는 공간입니다. 극장 맨 뒤쪽에 있으며 방음 처리가 되어 있습니다. 기술자가 극장 안에 있지 않고도 공연을 관람하며 조명, 음향을 조정할 수도 있습니다.
캣워크(Catwalk) 무대와 객석 천장에 설치된 좁고 긴 금속 다리입니다. 기술자가 이곳을 통해 조명이나 장비를 설치하거나 조정합니다. |
|
|
캣워크 예시. 조명이나 기타 장비를 설치하기 위해 이동하는 좁은 통로다. |
|
|
분장실(Dressing Room) 배우들이 무대에 오르기 전, 의상을 갈아입고 메이크업을 준비하는 공간입니다.
그린룸(Green Room) 배우들이 무대에 오르기 전 대기하거나 휴식하는 공간입니다. 배우들은 공연 전후 여기서 긴장을 풀거나 잠시 쉬기도 합니다.
그리드(Grid) 무대나 하우스 위 천장에 설치된 구조물입니다. 조명이나 무대 장치가 매달려 있습니다. 조명기사가 “조명을 건다”는 말은 바로 이 그리드에 장비를 설치한다는 뜻입니다. |
|
|
그리드 예시. 조명을 설치할 수 있도록 세운 철제 구조물. 한편 출판에서도 '그리드'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가독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지면 분할을 의미한다. |
|
|
극장은 크기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립니다. |
|
|
아레나(Arena) 또는 원형극장(Theater in the Round) 관객이 무대를 사방에서 둘러싸고 앉는 구조입니다. 무대에는 보통 커튼이 없고, 세트도 단순합니다. 미식축구 경기장을 본 적 있다면, 대략 그런 느낌입니다.
블랙박스(Black Box) 단순하고 유연한 공연 공간입니다. 검은 벽과 평평한 바닥,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객석이 특징입니다. 무대와 객석의 구분이 없거나, 공연마다 구성을 바꿀 수 있는 점이 장점입니다.
프러시니엄(Proscenium) 관객이 무대 정면에서 공연을 관람하는 가장 전통적인 형태의 극장 구조입니다. 액자 같은 무대 테두리가 특징입니다.
스러스트(Thrust) 무대 삼면이 객석으로 둘러싸인 구조입니다. 프러시니엄 극장의 일부로 설치되기도 합니다. 연극 <미러>의 무대와 객석을 떠올려 보세요. |
|
|
이제 극장 전체 구조가 그려지나요? 어떤 극장에 들어서도 자신 있게 움직일 수 있을 거예요. 멋진 공연 되길! "Break a leg!"
*“Break a leg!”, 공연 전 인사말로 직역하면 “다리를 부러뜨려!”이지만 실제로는 “공연 잘해!”의 의미로 쓰입니다. 유래로는 무대에 오를 사람에게 직접적인 표현으로 행운을 빌면 오히려 부정 탈까 봐 반어적으로 표현하던 관례가 굳어진 표현이란 설이 유력합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