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장인물 3-5인 희곡 모음(2/2) 어제에 이어 3인 이상 5인 이하의 인물이 나오는 작품들 모아서 소개합니다.
창작 작업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지만지드라마에서 출간한 희곡 480여 편의 작품별 등장인물 수, 구성, 배경, 줄거리, 주제어를 확인하고 싶다면 <지만지드라마 도서 목록 이북>을 다운받아 보세요.
<지만지드라마 도서 목록>을 PDF 파일로 받아 보고 싶으시다면 메일 주소를 보내 주세요. 📩 zmanzdrama@commbooks.com |
|
|
성난 눈빛의 강아지들
스페인, 팔로마 페드레로, 박지원, 1999년 공연, ≪머릿속의 새들≫에 수록, 456쪽 개요 스페인 사회에 만연한 혐오와 폭력 문제를 두 네오나치 청년을 통해 형상화했다. 등장인물 남 2 / 여 1 | 배경 중산층 가정의 거실 | 장과 막 단막 | 공연 시간 40분 | 주제어 권태 / 청소년 / 네오나치 / 혐오 / 폭력 / 트랜스젠더 / 극중극
|
|
|
아들
프랑스, 플로리앙 젤레르, 임선옥, 프랑스, 2018년 초연, 164쪽
개요 플로리앙 젤레르으 가족 삼부작 중 마지막 작품. 10대 니콜라가 부모의 갑작스런 이혼을 겪은 뒤 불안과 우울로 방황한다. 등장인물 남 2 / 여 2 / 의사와 간호사 | 배경 피에르의 집, 병원 | 장과 막 17개의 장면 | 공연 시간 2시간 | 주제어 가족갈등 / 부자갈등 / 현대가족 / 소통
|
|
|
어머니
프랑스, 플로리앙 젤레르, 임선옥, 2010년 초연, 136쪽
개요 ‘빈둥지증후군’을 겪으며 우울과 광기의 경계에서 방황하는 어머니의 모습을 통해 가족의 의미, 관계,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등장인물 남 2 / 여 2 | 배경 집 안 | 장과 막 4막 | 공연 시간 2시간 | 주제어 가족 / 빈둥지증후군 / 심리 / 미스터리
|
|
|
운전 배우기
미국, 폴라 보글, 이지훈, 1997년 초연, 198쪽
개요 릴빗의 성장과 성숙을 그린 희곡. 퓰리처상, 오비상, 수전블랙번상, 드라마데스크상, 뉴욕드라마비평가협회상 등을 수상하며 1990년대의 가장 새롭고 탁월한 작품으로 평가받았다. 등장인물 남 1 / 여 1 / 그 외 남녀 코러스와 십대 코러스 | 배경 주로 자동차 안 | 장과 막 구분 없음 | 공연 시간 2시간 | 주제어 근친상간 / 여성주의
|
|
|
이 아이
프랑스, 조엘 폼므라, 임혜경, 2006년 초연, 126쪽
개요 독립된 10개 에피소드는 ‘부모가 된다는 건 무엇인가’라는 주제를 공유하며 부모와 자식, 가족의 의미를 성찰하게 한다. 등장인물 장면마다 남 1∼2, 여 1∼2 | 배경 주로 아파트 실내 | 장과 막 독립된 10개 에피소드 | 공연 시간 2시간 30분 | 주제어 옴니버스 / 부모 / 낙태 / 가족
|
|
|
이 집에 사는 내 언니
미국, 웬디 케슬먼, 이지훈, 1981년 초연, 158쪽
개요 여성적 관점에서 '파팽 사건'을 재해석한 희곡. 웬디 케슬먼은 이 작품으로 수전스미스블랙번상을 수상했다. 등장인물 여 4 | 배경 마담 당자르의 집 안 | 장과 막 16장 | 공연 시간 2시간 | 주제어 미스터리 / 치정 / 동성애 / 근친상간
|
|
|
파테와 타르트
프랑스, 지은이 모름, 정의진, 중세, ≪프랑스 중세 소극선≫에 수록, 140쪽
개요 몰리에르를 거쳐 이오네스코와 베케트 이후까지 그 맥이 이어져 온 희극 전통 양식. 거지 둘이 짜고 제과점 내외를 속여 파테와 타르트를 빼돌린다. 같은 수법으로 빵을 도둑질하던 거지들이 제과점 부부에게 범행을 들켜 흠씬 두들겨 맞는다. 등장인물 남 3 / 여 1 | 배경 제과점 | 장과 막 19장 | 공연 시간 30분 | 주제어 소극
|
|
|
하녀들
프랑스, 장 주네, 오세곤, 1947년 발표, 152쪽
개요 전 세계를 충격에 빠트린 ‘파팽 자매 사건’을 모티프로 했다. 클레르와 솔랑주는 주인 마담이 외출한 빈집에서 마담과 하녀 역할을 맡아 연극을 벌인다. 자매는 연극을 거듭하며 마담에 대한 증오와 동경을 키운다. 등장인물 여 3 | 배경 마담의 저택 | 장과 막 구분 없음 | 공연 시간 1시간 30분 | 주제어 파팽자매 / 극중극 / 역할바꾸기
|
|
|
황금용
독일, 롤란트 시멜페니히, 이원양, 2011년 출판, ≪황금 용/과거의 여인≫에 수록, 212쪽
개요 현재 독일에서 가장 많이 공연되는 작가 롤란트 시멜페니히의 대표작. 유러피언 드림과 세계화의 허상을 조명한다. 아시안 레스토랑 ‘황금용’ 주방에서 일하는 중국인 ‘꼬마’의 발치로부터 사건이 시작된다. 등장인물 남 3 / 여 2 | 배경 황금 용 식당 | 장과 막 48개 장면 | 공연 시간 1시간 30분 | 주제어 희비극 / 서사극 / 이주민 / 타자화 / 소외
|
|
|
황폐한 물가 메데이아 자료 아르고호 사람들이 있는 풍경
독일, 하이너 뮐러, 정민영, 1982년에 완성, ≪뮐러 희곡선≫에 수록
개요 메데이아 신화를 통해 정복과 피정복이라는 역사의 억압 구조, 그 반복으로 인한 인류 종말을 경고한 작품. 등장인물 남 1 / 여 2 | 배경 비벌리힐스의 더러운 오물 가득한 풀장 또는 슈트라우스베르크 근교의 한 호숫가 | 장과 막 3개의 분절된 장면 | 공연 시간 1시간 | 주제어 비극 / 실험적인 형식
|
|
|
3월 11일의 아나
스페인, 팔로마 페드레로, 박지원, 2005년 공연, ≪머릿속의 새들≫에 수록, 456쪽
개요 2004년 스페인 마드리드 아토차 역에서 벌어진 폭탄 테러 사건을 모티프로 했다. 뉴스에 폭탄 테러 사건이 보도되자 세 명의 아나가 앙헬이라는 한 남자를 걱정한다. 세 여성이 처한 각기 다른 상황이 앙헬이란 인물을 소실점으로 하나로 합쳐지며 폭탄 테러 사건의 비극성이 드러난다. 등장인물 여 4, 간호사 1 | 배경 어머니 아나가 있는 양로원, 부인 아나가 있는 병원 대합실, 애인 아나의 집 안 | 장과 막 13개의 장면 | 공연 시간 1시간 30분 | 주제어 테러리즘 / 반테러리즘 / 페미니즘
|
|
|
* 이 정보가 유용하셨다면 주변에도 추천해 보세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