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작이란 무엇인가? * <How to Write a Play in 9 Steps>, Written by MasterClass (원문 보기) |
|
|
극작이란 무엇인가? 극작은 연극 제작을 위해 극화된 서사를 만드는 기술입니다. 시나리오 작가가 텔레비전 드라마와 영화 시나리오를 쓰는 것처럼 극작가는 무대에서 라이브로 공연할 캐릭터를 위해 극본을 씁니다. 장편 희곡이든 짧고 강렬한 단막극이든 이런 글쓰기에는 상당 수준의 창작적 자유가 따릅니다.
희곡을 쓰는 방법 목표가 브로드웨이용 창의적인 작문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든 친구와 가족들 앞에서 공연할 작품을 쓰는 것이든, 다음 단계에 따르면 누구든 걸작을 쓸 수 있습니다. |
|
|
무대화할 몇 가지 아이디어를 브레인스토밍합니다. 희곡의 메시지를 고려해 이를 강조할 중심 갈등을 생각해 보세요. 내러티브의 모든 것이 무대에서 생중계되므로 공간, 특수 효과와 같은 요소를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복잡하거나 초현실적인 요소가 있다면 물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창의적인 방법을 생각해 보세요. 윌리엄 셰익스피어, 헨리크 입센, 사뮈엘 베케트, 데이비드 마멧, 아서 밀러, 테네시 윌리엄스 같은 유명한 작가의 작품을 읽어 보길 바랍니다. 여기서 영감을 얻을 수도 있고 극의 진행 속도를 설정하거나 당신만의 세계관을 확립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
|
연극의 이야기를 이끄는 건 캐릭터입니다. 있음 직한(믿을 만한) 허구의 인물들은 독특하고 (주변 인물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입체적입니다. 캐릭터의 동기가 그의 행동, 결정에 영향을 미치면서 이야기가 만들어집니다. 프로타고니스트(주인공)에게 목표, 특성, 배경 이야기를 부여해야 합니다. 매력적인 안타고니스트(주인공과 갈등 관계에 있는 인물)를 등장시켜 주인공 또는 그 주변 인물들과 갈등하게 만드세요. 주요 캐릭터를 만들 때 클리셰는 금물입니다. 관객들이 흥미를 잃을 거예요. 캐릭터를 만들 때 고전적인 원형으로 눈을 돌리세요. 이 인물들이 서로에게서 최고(혹은 최악)을 끌어낼 겁니다.
|
|
|
*프로타고니스트와 안타고니스트의 관계는 희곡의 중심 관계를 형성한다. <<배우, 연출, 디자이너를 위한 대본 분석>> 6장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
|
희곡의 막을 구분하는 것으로 개요 짜기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단막극(매우 짧음), 3막 극 또는 5막 극이 일반적입니다. 중심 갈등을 둘러싼 주요 이야기, 플롯의 변곡점 같은 것들을 포함해 희곡의 처음, 중간, 끝을 기록하세요. 클라이맥스로 향하는 상승, 갈등 해결로 이어지는 하강의 패턴에 따라 플롯의 변곡점이 각각의 막이 됩니다. 관객의 흥미를 떨어트리지 않으려면 막과 막 사이 단절에 설득력 있어야 합니다. 캐릭터를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서브플롯 한두 개를 추가하세요.
|
|
|
무대 움직임을 고려해 대본을 써야 합니다. 무대 지시(예: 등퇴장)와 줄거리 또는 캐릭터 발전에 필요한 모든 물리적 행동을 쓰세요. 배우에겐 나름의 방식으로 캐릭터를 표현할 수 있을 정도의 자유가 필요합니다. 그러니 동작을 지나치게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마세요. 무대 디자인, 조명 또는 소품에서 중요한 사항들을 기록합니다. 장면 또는 의상이 바뀔 때 기술적인 부분을 고려해 장면 사이사이에 시간차를 두세요. 연극이 길다면 관객이 다리를 쭉 뻗고 쉴 수 있는 휴식 시간(인터미션)을 넣어야 합니다.
|
|
|
줄거리에서 벗어나 희곡에 살을 붙이세요. 극의 진행 순서와 관계없이 써도 됩니다. 그게 창작 흐름에 도움이 된다면요. 1막을 쓰기 전에 클라이맥스나 결말부터 쓰는 작가도 있습니다. 중복을 피하고 이야기가 제대로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섭니다. 각각의 막은 더 큰 내러티브 안에서 고유한 틀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항상 연극의 주제와 메시지를 강화해야 합니다. 긴 대화 장면은 액션, 긴장 또는 놀라움으로 끊어 주세요.
|
|
|
영화 대본과 마찬가지로 무대 극본에도 형식과 규칙이 있습니다. 읽기 쉽도록, 또 전문적으로 보이도록 올바른 형식으로 써야 합니다. 대부분의 극본은 페이지 중앙에 캐릭터의 이름을 대문자로 씁니다. 무대지시문은 이탤릭체로 표시합니다. 막과 장면 제목은 중앙에 씁니다. 자신이 없다면 스크립트 작성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세요. 극본을 자동으로 형식화해 줍니다.
|
|
|
초고를 완성한 뒤 희곡 전체를 처음부터 끝까지 읽으세요. 여백에 메모를 한 뒤 이를 염두에 두고 대본을 다시 읽어 보세요. 연속성 또는 타임라인에 불일치 문제는 없는지, 플롯에 허점은 없는지, 캐릭터의 대화가 약하진 않은지 확인합니다. 캐릭터의 액션과 행동이 동기에 부합하는지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조정합니다.
|
|
|
초고의 메모 내용을 반영해 두 번째 단계를 수행합니다. 대화와 행동을 섬세하게 수정합니다. 가족과 친구들에게 대본을 보여 주고 솔직한 피드백을 받으세요.
|
|
|
제작진에 대본 리딩을 제안하세요. 배우와 제작자가 대화, 무대 지시, 장면 제목을 읽는 조직적인 대본 읽기 작업입니다. 리딩 과정에서 수정이 필요한 부분들을 표시해 둡니다. 각각의 대사와 액션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유의해서 보세요. 대본 리딩 결과를 반영해 탈고합니다.
|
|
|
마스터클래스닷컴은 매체별 글쓰기 온라인 강연 플랫폼입니다.
<아메리칸 버펄로>를 쓴 데이비드 마멧이 극작을 강의합니다. |
|
|
데이비드 마멧(David Mamet, 1947~)은 영국 극작가 헤럴드 핀터의 영향을 받아 극작에 힘꺼온 극작가이자 시나리오 작가입니다. <글렌게리 글렌 로스>로 퓰리처상을 수상하면서 미국 대표 극작가로 성장합니다. 1981년 <포스트맨은 두 번 벨을 울린다> 시나리오를 써서 영화계에 입문합니다. 1987년에는 <하우스 오브 게임> 각본과 연출을 맡아 영화감독으로도 데뷔했습니다.
|
|
|
|